
안녕하세요 :) 이번포스팅은 간단하게 우분투 리눅스 부팅시 로그인되는 자동로그인 계정에 대하여 설정하는 방법을 다루어 보겠습니다. 첫번째 파일은 /etc/gdm3/custom.conf 입니다. 파일입니다. vi 에디터를 통해 열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그럼 위와 Enable 값을 True로 해주고 자동로그인할 계정을 적어주면 됩니다. 저같은 경우 보안옵션 구문에 루트사용자의 자동로그인을 허락할것인지 옵션을 추가해주었습니다. 22번 라인의 AllowRoot = True 입니다. 그리고 다음파일은 /etc/pam.d/gdm-password 를 열어준후 3번 라인을 지워주어야 합니다. 저는 주석처리해주었습니다. 마지막으로 한가지 파일을 더 설정해주어야 합니다. /etc/pam.d/gdm-autologin 이 ..

안녕하세요 :) 우분투 리눅스 환경에서의 서버 구축을 주제로한 열여덟번째 포스팅은 서버관련 명령어에 대한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이전 포스팅까지 여러분야의 서버 서비스를 설치하여 구축해보는 기초적인 단계에서의 우분투 리눅스 서버개설을 해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부터는 가상 머신 환경을 적극 활용하여 기초적인 네트워킹에대한 개념과 명령을 알아보고 가상호스트를 만들어패킷을 보내보는 등의 실습을 진행해보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위와 같은 실습진행에 앞선 기본적인 네트워크 명령어 동작 개념 정리 입니다. 1. ifconfig - 시스템에 설치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정보를 확인 할수 있는 명령으로 아무런 옵션 없이 사용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HWaddr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주소(MAC address) MAC 주..

안녕하세요 :) 우분투 리눅스 환경에서의 서버 구축을 주제로한 열일곱번째 포스팅 내용은 프록시 서버의 구축과 운영입니다. 프록시 서버란? proxy 라는 단어 뜻 대로 대리인이라는 역할을 수행하는 서버입니다. 웹환경에서 프록시 서버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요청한 데이터를 전달하는 대리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한번 전송한 데이터를 다시요청하는 경우는 캐시에 저장된것을 보내주는등 중간과정에서의 역할을 수행해주지요. 그러면 어떤결과가 나올까요? 웹사이트에 접근하는 속도가 훨씬 빨라지겠죠. 이번 카테고리에서는 이러한 프록시 서버를 우분투 리눅스에서 구축하구 운영해보겠습니다. 구축은 간단한 과정이니 구축후 프록시서버가 인터넷접속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그래픽환경의 우분투 리눅스의 부팅을 걸어주고 터..

안녕하세요 :) 우분투 리눅스 환경에서의 서버 구축을 주제로한 열여섯번째 포스팅 내용은 DHCP 서버의 구축과 운영입니다. DHCP 서버란?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의 약어로서 서버가 자동으로 네트워크 정보를 할당해주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예를들어 ip주소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워이, DNS 서버 주소등을 말하는 것이죠 이 DHCP 자동할당을 거의 모든 인터넷 유저가 사용하기 때문에 복잡한 네트워크 관련 개념 또는 따로의 설정이 없이 모두 네트워크 망을 이용할수 있던것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DHCP 서버를 구축하고 운영해 보겠습니다. 작동순서는 이렇습니다. 1. 유저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컴퓨터)의 전원을 킨다. 2. DHCP서버에게 IP주소를 요청한다. 3..

안녕하세요 :) 우분투 리눅스 환경에서의 서버 구축을 주제로한 열다섯번째 포스팅 내용은FTP 서버의 구축과 운영입니다. Samba 서버란? 윈도우 운영체제와 리눅스 운영체제 사이에서의 리소스를 공유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서버 입니다. 리소스란 파일이나 프린터 등 컴퓨터가 사용하는 자원을 말합니다. 이번포스팅에선 이러한 삼바서버의 구축과 운영에 대하여 다루어보겠습니다. 리눅스환경에서 윈도우가 공유한 자원에 대한 접근을 다루어 보겠습니다. (이번 카테고리는 철저히 우분투 리눅스 사용유저를 위한 서버 카테고리이니까요) 윈도우의 입장에서 자원을 공유할때는 따로 서버를 구축하는 느낌은 아닙니다, 단지 디렉터리를 하나 공유하여 리눅스 사용자를 추가합니다. 그러면 리눅스에서는 클라이언트 패키지를 이용하여 접근하는데 여..

안녕하세요 :) 우분투 리눅스 환경에서의 서버 구축을 주제로한 열네번째 포스팅 내용은 NFS 서버의 구축과 운영입니다. NFS 란? Network File System의 약자로 리눅스 운영체제 컴퓨터 끼리 저장공간(디렉터리)를 공유할수 있도록 해주는 시스템이다. 즉, 서버측에서 공유할 디렉터리를 생성하고 클라이언트(유저)가 해당 디렉터리를 마운트해서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파일 서버의 역할을 한다는 부분에서 fpt와 비슷합니다. 바로 구축하고 이용해보겠습니다. 설치할 패키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nfs-common nfs-kernel-server rpcbind 이 세가지 종류이고 apt-get 명령을 통해 설치를 진행하였습니다. 이제 설치가 완료되면 공유해줄 디렉터리를 생성해주겠습니다. 디렉터리 위치는 /(..

안녕하세요 :) 우분투 리눅스 환경에서의 서버 구축을 주제로한 열세번째 포스팅 내용은FTP 서버의 구축과 운영입니다. FTP 란? File Transfer Protocol 의 약자로,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서비스, 통신규약을 말합니다. 웹서버의 등장으로 웹환경에서 파일을 편리하게 전송할수 있게 됨으로서 FTP는 인기가 많이 떨어지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파일 전송 자체만 논한다면 성능이 뛰어납니다. 그렇기 때문에 대용량 파일을 배포하거나 전송하는경우에 아직 FTP서버의 사용이 빈번하게 이루어 지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vsftpd 라는 우분투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ftp 서버를 이용해보겠습니다. 먼저 그래픽 환경의 우분투 리눅스를 부팅해서 터미널을 열어줍니다! 다음은 apt-get 명령으로 vsftpd 패..

안녕하세요 :) 우분투 리눅스 환경에서의 서버 구축을 주제로한 열두번째 포스팅 내용은 아파치 웹 서버를 이용한 웹하드 운용입니다. 지난 포스팅에는 웹서버내에서 게시판, 조금 과장되게 웹페이지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이번에 해볼것은 웹서버를 이용한 웹하드 만들기 입니다. 이것도 역시 오픈 소스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구축해 보겠습니다. 오픈소스 명은 pydio입니다. 관리자 입장에서는 디스크 용량만 높여주면 유저가 사용하기 정말 편할것 같습니다ㅎㅎ 그러한 과정을 한번 시도해보겠습니다. 이렇게 압축파일을 간단한 구글링을 통해 얻어내시면 저번과 동일하게 html의 홈디렉터리안에 압축파일을 이동시키고 압축해제를 진행합니다. 근데 나중되면 192.168.111.100/pydio-core-6.4.2 webhard 이런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