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 이번포스팅은 간단하게 우분투 리눅스 부팅시 로그인되는 자동로그인 계정에 대하여 설정하는 방법을 다루어 보겠습니다. 첫번째 파일은 /etc/gdm3/custom.conf 입니다. 파일입니다. vi 에디터를 통해 열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그럼 위와 Enable 값을 True로 해주고 자동로그인할 계정을 적어주면 됩니다. 저같은 경우 보안옵션 구문에 루트사용자의 자동로그인을 허락할것인지 옵션을 추가해주었습니다. 22번 라인의 AllowRoot = True 입니다. 그리고 다음파일은 /etc/pam.d/gdm-password 를 열어준후 3번 라인을 지워주어야 합니다. 저는 주석처리해주었습니다. 마지막으로 한가지 파일을 더 설정해주어야 합니다. /etc/pam.d/gdm-autologin 이 ..

안녕하세요 :) 우분투 리눅스를 주제로 한 열일곱번째 포스팅 시간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잘 구축된 RAID에 일부로 문제를 일으킨후, 이를 해결해보겠습니다. 먼저 지금까지 해둔 RAID 장비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총9 개의 물리디스크를 이용하여 Linear RAID, RAID0, RAID1, RAID5 를 구축해 두었죠? 터미널을 열어 df명령어를 통해 확인해보겠습니다. 부팅후에 확인해 보았을때 이상없이 잘 작동하는 것을 확인할수 있었습니다. 이제 각각의 RAID에 일부로 고장을 내서 확인할 계획인데 확인을 위해서 각각의 디스크에 데이터를 하나씩 넣어 두고 고장후 확인해보겠습니다. 그냥 아무 파일이나 임의로 복사하여 각 디스크에 넣어두었습니다. 그리고 가상머신을 종료후 디스크를 고장내 보겠습니다. 물리..

안녕하세요 :) 우분투 리눅스를 주제로 한 열여섯번째 포스팅 시간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Linear RAID를 우분투 리눅스에서 구축해 보았습니다. 이번에는 이어서 RAID0과 RAID5를 구축해보겠습니다. RAID0 구축) 터미널을 열어주겠습니다. 이번에는 mdadm 명령어를 수행할때 RAID0을 만들기 위해 옵션을 이전과 조금 수정하여 아래의 그림과 같이 수행해줍니다. 명령어를 통해 간단하게 확인해 보면 이와 같이 잘 생성된것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다음은 파일 시스템이었죠? mkfs.ext4 /dev/md0 저번 포스팅의 절차와 동일합니다! 마지막으로 마운트를 위해 /raid0이라는 디렉토리를 생성하여 마운트 해주겠습니다. df 명령어로 확인해 주어도 잘 구축되어 있습니다. 디테일 내용을 확인하여도..

안녕하세요 :) 우분투 리눅스를 주제로 한 열다섯번째 포스팅 시간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RAID 구축을위한 물리적 하드디스크 9개를 포맷해 두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Linear RAID를 구축하여 보겠습니다. 먼저 작업순서를 아래 사진을 통해 알아보도록하겠습니다. 이제 부터 시작해보겠습니다. VMware 가상머신의 시동을 걸어줍니다. 그후 터미널을 열고 지난 포스팅으로 해두었던것들 부터 확인 해보겠습니다. fdisk -l 명령어를 입력해줍니다. sdb와 sdc를 확인해보면 1기가 2기가로 설정이 잘 되어있는것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저번 포스팅에서 1TB를 1기가로 가장하기로 했었죠 ㅎㅎ 먼저 그룹을 묵어주기 위한 명령어 mdadm을 수행시켜주기 위해 패키지를 설치해 줍니다. 위의 그림과 같이 a..

안녕하세요 :) 우분투 리눅스를 주제로 한 열네번째 포스팅 시간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하드디스크 여러개를 마치 하나의 장치처럼 사용하게 해주는 RAID에 대하여 개념적인 부분들을 다루어 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부터는 각각의 RAID를 실제로 구현 해보겠습니다. 위의 그림과 같이 RAID를 구현할 계획이고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림 처럼 9개의 물리적 하드디스크를 추가하는과정을 다루어 보겠습니다. 하드디스크 추가후 fdisk 명령어 수행 ) 프로그램 실행후 가상머신 세팅을 눌러줍니다. 그다음 Add 버튼을 눌러 줍니다. 하드 디스크를 선택후 Next 버튼을 눌러줍니다. 서버용 디스크는 SCSI를 주로 사용하니 SCSI로 선택하겠습니다. 다음은 새로운 디스크 추가니 Create a new virtual di..

안녕하세요 :) 우분투 리눅스를 주제로 한 열두번째 포스팅 시간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하드디스크 장치 유형인 SATA / SCSI 장치에 대하여 알아보고 하드디스크를 직접 추가 해보겠습니다. 먼저 필요한 개념적인 부분을 노트필기한사진을 첨부하겠습니다. SATA HDD와 SCSI HDD에 대하여 간략하게 요점정리 해둔것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이번 포스팅에서 해볼것은 새로운 하드디스크를 추가 하는것입니다. SCSI장치로 말이죠 대략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vmware 가상머신을 통해 실습을 진행 해보겠습니다. 먼저 VMware 를 실행후 를 눌러 하드웨어를 세팅하는 환경설정 창으로 들어갑니다. 그후 Add 버튼을 클릭하여 SCSI HDD를 추가해주겠습니다. 하드디스크 선택후 Next SCSI 장비 ..

안녕하세요 :) 우분투 리눅스를 주제로 한 열한번째 포스팅 시간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프로세스, 서비스, 소켓에 대하여 다루어보겠습니다. 1.프로세스 -정의 :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실행코드(프로그램)가 메모리에 로딩되어 활성화된 것 -포그라운드 프로세스(foreground process) 실행하면 화면에 나타나 사용자와 상호작용을 하는 프로세스 -백그라운 프로세스(background process) 실행은 되었지만, 화면에는 나타나지 않고 실해되는 프로세스 백신 프로그램, 서버데몬 등 -프로세스 번호 각각의 프로세스에 할당된 고유 번호 -작업 번호 현재 실행되고 있는 백그라운 프로세스의 순차번호 -부모 프로세스 & 자식 프로세스 모든 프로세스는 부모 프로세스를 가지고 있음 부모 프로세스를 kill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