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 데이터 통신과 네트워킹을 주제로 한 다섯번째 포스팅을 시작해 보겠습니다. 아마 저번 포스팅때부터 느끼셨겠지만 제가 이번학기를 시작하며 아이패드를 구매했습니다!!! 원래는 필기해둔 내용을 다시 텍스트로 풀어서 포스팅하고 있었지만 이제부터는 공부하며 필기한 내용을 직접업로딩하고 필요시엔 텍스트로 부연설명을 하는 형식으로 포스팅을 진행해보려 합니다 ㅎㅎ 이번 포스팅부터는 OSI 7 계층중 Physical Layer(물리 계층)에 대하여 세부적으로 다루어 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 데이터 통신과 네트워킹을 주제로 한 네번째 포스팅을 시작해 보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프로토콜 각 계층 하나 하나에 대하여 살펴보고 통신과정은 어떠한지도 살펴보겠습니다. 1. Physical Layer (물리 계층) 단위 : Bit stream 물리계층은 물리계층의 통신 단위인 Bit stream을 잘 전송하고 수신하는데에 목적이 있습니다. 아래의 그림과 같이 0과 1로 이루어진 Bit들을 stream 단위로 묶어 전송하게 되는데, 이과정에서 모뎀이라고 하는 장비를 통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이 되고 수신단에서 다시 전기적 신호를 Bit stream으로 바꾸어 통신하게 됩니다. 물리계층은 전송과정에 있어서 전송매체를 필연적으로 지나게 됩니다. 그 예로 케이블, 구리선, 공기중 등이 있..

안녕하세요 :) 데이터 통신과 네트워킹을 주제로 한 세번째 포스팅을 시작해 보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프로토콜의 계층적 구조에 대하여 살펴 보겠습니다. 프로토콜 (Protocol) - 다수의 컴퓨터 또는 통신 단말 사이의 통신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필요한 통신규약 네트워크와 데이터 통신을 다루는 이번 카테고리 주제에서 프로토콜은 필연적으로 다루어보아야 할 내용입니다. 이번포스팅에서는 프로토콜의 구조와 각계층의 역할과 단위 그리고 실제로 데이터 통신이 어떠한 과정의 프로토콜을 거쳐서 송수신이 이루어지는지 살펴 보겠습니다. 네트워크 구조 (Network Architecture) -Layed Architecture, 계층적 구조 프로토콜 레이어링 이란? 통신에 필요한 프로토콜들을 각 계층별로 쌓아서 진행하..

안녕하세요 :) 데이터 통신과 네트워킹을 주제로 한 두번째 포스팅을 시작해 보겠습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다루었던 내용을 이어서 진행해보겠습니다. 이전까지 우리는 OSI 계층, 데이터 통신의 기본개념, 네트워크의 기본 개념에 대하여 다루어보았습니다. 이번엔 물리적 연결 형태부터 시작해보겠습니다. 4. 네트워크의 물리적 연결 형태 Physical Topology, 물리적 연결 형태 mesh(그물형), star(성형), bus(버스형), ring(링형) 네가지가 존재합니다. mesh(그물형) - 모든 디바이스가 point to point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1대1 링크) - 장점 : 장거리 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용이하다 - 단점 : Cabling 과다, 네트워크 구축에 케이블이 많이 필요하다. n개의 단말..

안녕하세요 :) 데이터 통신과 네트워킹을 주제로 한 첫번째 포스팅을 시작해 보겠습니다. 첫번째 포스팅에서 다룰 내용은 네트워크 구조입니다. 스터디 순서는 OSI 계층에 대하여 다루고 데이터 통신의 기본개념, 네트워크의 기본 개념, 네트워크의 물리적 연결 형태, 네트워크의 유형 순으로 다루어 보겠습니다. 1. OSI 7계층 OSI 7계층은 국제표준기구(ISO)에서 제시한 네트워크 표준화 모델입니다. 각 계층별로 통신에 필요한 역할을 나누어 원활한 네트워크 통 신할수 있게 해준것 입니다. 아래의 필기를 첨부하겠습니다 데이터 통신과목에서는 주로 1계층인 물리계층 부터 3계층인 네트워크 계층에 대해 다룰것이지만 주로 2계층을 메인으로 다루게 될것입 니다. 데이터 통신의 기본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우리가 Devi..

안녕하세요 Shiny Ocean입니다. 이번 카테고리에서 다룰 내용은 데이터 통신& 네트워킹입니다. Introduction) 벌써 3월이 되었고 대학교 개강을 맞이 하였네요...ㅎㅎ 저는 3학년 1학기로 학교를 다니기 시작했고 수강신청 때부터 눈에 들어온 과목이 하나 있었습니다. 이번 챕터의 주제가 되기도 할 데이터 통신 과목입니다. 이번 챕터에서는 대학교의 강의 내용을 요점 정리 및 제가 공부하며 이해한 내용을 바탕으로 포스팅을 진행할 것임으로 내용이 정확하지 않을수 있습니다. 내용의 수정이나 변경 관련한 댓글 너무너무 환영입니다! 저도 이번학기부터 처음 공부하는 것이니까요. 전반적으로 네트워크와 데이터 통신에 관련된 개념, 네트워크의 구조와 원리, 통신 프로토콜 등 기초가 되는 부분부터 다루어 볼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