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Language/Python3

Python3 - Git & Github(2)

ShinyOcean 2021. 5. 8. 03:16

안녕하세요 :)

 

파이썬 개발 관련 두번째 포스팅은 지난 포스팅에 이어 git & git hub 그중에서도 깃 허브에 대하여 다루어보겠습니다.

 

이미 지난 포스팅을 통해 깃에 대한 정보와 여러 커밋들을 협업을 할때 사용할수 있도록 공유할수 있는 웹 사이트 형태의 원격 저장소인 깃허브에 대하여 설명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다루어볼 내용은 어떻게 커밋들을 깃허브에 업로드 할것인가 그 방법에 대하여 다루어 보겠습니다.

 

제일 먼저 깃허브 계정이 있어야 하겠죠? 후딱 가입하고 오겠습니다.

 

저의 경우 가입후 첫화면은 위와 같았습니다 웹페이지 자동번역으로 인해 한글로 되어있지만 사실 언어는 언어일뿐 똑같습니다.

우측 상단의 저장소 만들기 클릭후 아래와 같이 기본적인 정보를 입력후 만들었습니다.

일단 README.md 파일은 포함한채로 말이죠!

 

생성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렇다면 이제 어떻게 커밋을 업로드 할것인가를 다루어 보겠습니다.

 

일단 제 우분투 리눅스내에 진행하던 토이프로젝트용 디렉터리의 모든것들을

 

git add . 을 통해 스테이지로 만들고 커밋하였습니다.

 

그후 git remote add orgin https://깃허브 주소를 입력하면 원격 저장소를 추가할수 있습니다.

 

설정후에는 위와 같이 git remote -v 명령을 사용하여 주소를 확인할수 있습니다.

fetch는 파일을 받아올 주소, push는 파일을 전송할 주소를 말합니다.

 

이제 master 가지의 파일들을 원격 저장소로 전송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sudo git push orgin master

 

그럼 위와 같이 전송이 진행되는것을 확인해 볼수 있습니다.

 

아래의 결과를 확인하면 마스터 브랜치 하위로 모든 파일들이 전송된것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당연히도 fetch는 위의 순서의 역순으로 진행해주면 됩니다.

 

깃허브의 장점은 작업의 진행별로 나누어둔 커밋들의 브랜치를 그대로 업로드할수 있다는 점에 있고 그렇게 업로드된 자료들이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보호되기도 공유되기도 한다는 점입니다.

 

그러면 앞으로 파이썬 언어를 통해 개발을 진행하고 진행한 프로젝트들을 깃허브에 업로드하는 과정으로 스터디를 진행해보겠습니다.

'Language > Python3'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3 - todolist(text) demo  (0) 2021.05.14
Python3 - Todolist (test mode), use Database  (0) 2021.05.14
Python3 - Music playList  (0) 2021.05.12
Python3 - Git & Github(1)  (1) 2021.05.07
Python3 - intro  (0) 2021.05.07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8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