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
이번 포스팅에서 다루어볼 내용은 몽고디비에 데이터를 추가 하거나 조회하기 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몽고디비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과 설치까지 진행해보았습니다. 이번에는 설치이후 데이터베이스를 활성화시킨 상태에 이어서 조회와 추가를 진행해보겠습니다.
활성화 이후 새로운 터미널을 열어(윈도우의 경우 명령 프롬프트 또는 파워셸) mongo 라는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버전정보가 출력되면 몽고디비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된 셸이 실행됩니다.
이후 use local이라는 명령어를 통해 local 데이터 베이스에 연결합니다. (그럼 여기서 감이 옵니다. 우리가 --dbpath라는 명령을 통해 데이터베이스화 한 폴더는 그냥 폴더에서 데이터베이스로 변경된것을 알수 있습니다.)
다음 명령을 입력시 users 컬렉션이 자동으로 생성되며 그안에 파라미터로 전달한 JSON 객체가 추가됩니다. 컬렉션 내에 추가한 객체이니 도큐먼트가 됩니다.
db.users.insert({})
이후 다음 명령을 통해 조회해보겠습니다 이떄 find는 db내에서 조회를 의미합니다.
db.users.find()
이로서 몽고디비를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고 콘솔환경에서 운용하는것을 간략하게 실습해 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팅부터는 콘솔환경의 몽고디비 운용과 Express 모듈을 사용하여 디비와 연동된 웹어플리캐이션 개발을 진행해보겠습니다.
'Database > Express & Mongo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Express & MongoDB - 수도 퀴즈 웹사이트 (0) | 2021.08.02 |
---|---|
Express & MongoDB - DB 데이터 삽입, 수정 (0) | 2021.07.21 |
Express & MongoDB - DB 연동 (1) | 2021.07.20 |
Express & MongoDB - 몽고디비의 개념과 설치 (0) | 2021.07.20 |
Express & MongoDB - Intro (0) | 2021.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