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Data Structure(자료 구조)를 주제로 한 네번째 포스팅은 자료의 구조중 실제 프로그래밍에서 많이 사용되는 연결리스트를 다루어보겠습니다.
먼저 리스트와 노드에 대해서 다루어 보고 다음포스팅때는 리스트를 이용한 예제를 해결해보겠습니다.
리스트 노드를 C언어의 구조체로 선언한 것을 파악해 보며 노드를 이해해보겠습니다.
typedef int element;
typedef struct ListNode {
element data;
struct ListNode *link;
} ListNode;
typedef int element;
element 자료형을 int형으로 다른 타입을 부여함
typedef struct ListNode {
노드타입을 구조체로 타입을 부여함.
element data;
data필드는 element타입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struct ListNode *link;
link필드는 listnode를 가리키는 포인터로 정의되며 다음 노드의 주소가 저장된다
} ListNode;
이러한 연결리스트 구조체를 불러올 때 ListNode라 한다.
위의 그림과 같은 구조를 반복하여 노드가 다음 데이터를 참조하게 계속
엮어주는 구조를 연결리스트라고 합니다.
'Development > Data Struc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ta Structure - 노드와 연결리스트의 이해(3) (0) | 2021.02.18 |
---|---|
Data Structure - 노드와 연결리스트의 이해(2) (0) | 2021.02.17 |
Data Structure - 스택을 이용한 미로 표현 (0) | 2021.02.17 |
Data Structure - 희소행렬, 전치행렬 (0) | 2021.02.17 |
Data Structure - 추상 자료형(ADT : abstract data type) (0) | 2021.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