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

 

우분투 리눅스를 주제로 한 아홉번째 포스팅 시간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네트워크 관련 파일과 관련 명령어에 대하여 다루어보겠습니다.

 

 

 

nm-connection-editor

네트워크와 관련된 대부분의 작업을 이 명령어에서 수행

-자동 ip주소 또는 고정 ip주소 사용 결정

-ip주소,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정보 입력

-DNS 정보 입력

-네트워크 카드 드라이버 설정

-네트워크 장치(ens32)의 설정

-GUI 기반으로 작동함

 

 

 

systemctl <start/stop/restart/status> Network

네트워크의 설정을 변경한 후에, 변경된 내용을 시스템에 적용시키는 명령어

 

 

 

ifconfig <장치이름>

장치의 IP주소 설정 정보를 출력

 

 

 

nslookup

DNS 서버의 작동을 테스트하는 명령어

 

 

 

ping <IP주소 또는 URL>

해당 컴퓨터가 네트워크상에서 응답하는지를 테스트하는 간편한 명령어

 

 

 

 

 

네크워크 기본 정보가 설정된 파일

 

X윈도 모드

    /etc/NetworkManger/system-connections/유선 연결 1

 

텍스트 모드
   /etc/network/interfaces


DNS 서버 정보 및 호스트 이름 파일 

   /etc/resolv.conf

 

현 컴퓨터의 호스트 이름 및 FQDN일 들어있는 파일

   /etc/hosts

 

 

 

 

실습 : DNS 서버 정보가 들어있는 파일을 수정후 결과 확인해보기

 

우분투 리눅스를 부팅후 cat 명령어로 /etc/resolv.conf 파일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그러면 위와 같이 기본 DNS 서버가 설정이 잘 되어있습니다.이제 vi 에디터를 이용하여 서버 아이피를 주석처리를 한후 nslookup명령어를 통해 DSN 서버의 아이피와 네이버의 아이피 주소를 물어보겠습니다.

 

 

 

주석처리전)

원래는 아래와 같이 아이피 주소와 기본적인 정보가 나와야 합니다.

 

 


주석처리후)

설정된 DNS 서버가 없가 주석처리 되었기 때문에 아래의 그림처럼 방황하면서 커서만 깜박이다가

 

결국 아래와 같은 메세지를 출력하게 됩니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