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 우분투 리눅스 환경에서의 서버 구축을 주제로한 열번째 포스팅 내용은 아파치 웹 서버 운용입니다. 이번 챕터는 아파치 웹서버를 운용해보겠습니다. 여러가지 오픈소스를 게시판 웹하드 클라우드 서비스를 운용해 보겠습니다. 원래 웹서버라 함은 웹페이지를 관리함에 있어 가장 의미가 있지만 우분투리눅스의 서버를 다루는 이번 카테고리에서 웹페이지 개발에 관련된 프로그래밍 언어를 다루는 것은 이번 카테고리 주제에 맞지 않기 때문에 활용도가 높은 오픈소스를 이용해서 개발이 아닌 "운용"을 해볼 생각입니다. (물론 나중에 html,xml,css,js 등의 프론트엔드영역에서 다루는 개발도 해볼 생각입니다만! 아직은 아닙니다!) AMP 개요) 리눅스를 가장 많이 활용하는 분야중 하나는 웹서버 입니다. 이러한 웹..

안녕하세요 :) 우분투 리눅스 환경에서의 서버 구축을 주제로한 아홉번째 포스팅 내용은 sendmail 메일서버구축입니다. pop3 와 smtp 프로토콜을 이용한 기본적인 메일서버를 구축할 계획이고 이전 포스팅에서 다루었던 메일서버 구축을 위한 네임서버를 구축하지 않았다면 이번 포스팅의 흐름은 절대로 따라할수 없기 때문에 저번 포스팅의 내용을 먼저 익히고 오시는것을 권고 드립니다! Email 송수신 프로토콜)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클라이언트가 메일을 보내거나, 메일서버 끼리 메일을 주고 받을때 pop3(pst office protocol) 메일 서버에 도착되어있는 메일을 클라이언트로 가져올때 imap(internet mail access protocol) - po..

안녕하세요 :) 우분투 리눅스 환경에서의 서버 구축을 주제로한 여덟번째 포스팅 내용은 메일서버를위한 네임서버구축입니다. 지난 포스팅 시간까지 우리는 3가지 유형의 네임서버를 구축해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부터 우리가 일상에서 많이 사용하는 메일을 주고받을때 이용하게 되는 메일서버에 대하여 다루어보겠습니다. 하지만 여타 다른 서버들과는 달리 메일서버는 구축하기전에 네임서버로 먼저 기반을 만들어두고 거기에 메일서버를 추가로 연동시켜야 합니다. 순서는 naver.com 이라는 이름의 네임서버, daum.net이라는 이름의 네임서버를 먼저 만든후 두가지 네임서버에 각각의 메일서버를 연동시킬 계획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naver.com과 daum.net 이라는 실제로 존재하는 도메인을 사용하여도 문제가 되지 않는이유..

안녕하세요 :) 우분투 리눅스 환경에서의 서버 구축을 주제로한 일곱번째 포스팅 내용은 라운드 로빈 방식의 네임서버 구축입니다. 라운드 로빈 방식의 네임서버는 여러사용자의 접속으로 인해 네임서버에 부하가 걸려 서버가 다운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서버입니다. 같은 유형의 서버를 여러개 만들어 사용자가 들어올때마다 순서대로 돌려가며 도메인을 검색해주고 이를 연결해주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naver.com 을 nslookup 명령어를 통해 검색해보면 아래처럼 두개의 네임서버가 존재하여 사용자를 분배하여 주는것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물론 내부적으론 더 많은 서버가 운용되고 있겠지만요! 이런식으로 동작하는 서버를 지금부터 구축해보겠습니다. 확인을 하기위해서 서로다른 3개의 웹사이트를 참조하여 라운드로..

안녕하세요 :) 우분투 리눅스 환경에서의 서버 구축을 주제로한 여섯번째 포스팅 내용은 마스터 네임서버 구축입니다. 마스터 네임서버란? 도메인 네임자체 예하로 ip를 관리하고 있는 서버를 말합니다. 예를들어 naver.com을 nslookup 명령어를 실행하여 ip를 확인하면 자신 아래에 www = 233.130.195.95가 있고 mail = xxx.xxx.xxx.xxx 가 있는것과 같이 도메인 네임아래에 총괄적으로 관리하는 아이피가 여럿 존재합니다. 원래의 마스터 네임서버는 도메인을 비용을 지불하여 사고 그를 기반으로 구축을 하는것이 정석이지만 이번 포스팅에서는 도메인을 비용을 지불하고 샀다고 가정하고 웹서버와 ftp서버를 도메인네임 아래로 포함시켜 구축을 진행해보겠습니다. 진행할 웹서버의 ip주소는 ..

안녕하세요 :) 우분투 리눅스 환경에서의 서버 구축을 주제로한 다섯번째 포스팅 내용은 캐싱전용 네임서버 구축입니다. 네임 서버란 ? 숫자로 이루어진 ip주소 체계를 기억하기 어려운 유저를 위해 우리에게 익숙한 영문과 숫자 기호들을 사용하여 해당 아이피에 접근할수 있도록 해주는 도메인 네임을 관리해주는 서버입니다. 우리는 누군가가 만들어둔 네임서버를 사용하여 지금까지 ip주소없이도 도메인네임으로만 엑세스 할수 있었지만 이번 포스팅에선 그 도메인네임과 아이피를 저장한 캐싱전용 네임서버를 직접 구현하여 구현한 네임서버를 통해 웹서버의 ip주소를 검색해보겠습니다. 구현과정) 먼저 우분투 리눅스를 부팅후 터미널을 열어 네임서버 구축에 필요한 패키지들을 설치합니다. bind9 bind9utils 다음은 관련된 설정..

안녕하세요 :) 우분투 리눅스 환경에서의 서버 구축을 주제로한 세번째 포스팅 내용은 VNC서버입니다. 저번 포스팅까지 우리는 텍스트모드의 우분투 리눅스환경을 ssh와 telnet서버를 통해 원격 접속해보았습니다. 하지만 우분투 리눅스의 장점중하나가 x윈도우와 GUI를 지원한다는 것이죠 그렇다면 이번에는 원격으로 텍스트 모드의 리눅스환경이 아닌 그래픽모드의 리눅스환경으로 접속해보겠습니다. 방법은 VNC서버와 그놈패널등의 패키지를 이용하여 서버를 구축하는것입니다. 이번에도 저번과 비슷하게 패키지 설치후 환경설정 파일을 조금편집해주면되는 작업이기 때문에 그리어렵지 않습니다. 천천히 따라와 주세요! 서버구축을 위해 설치해줄 패키지 파일은 다음과 같습니다. gnome-panel gnome-settings-daem..

안녕하세요 :) 우분투 리눅스 환경에서의 서버 구축을 주제로한 두번째 포스팅 내용은 SSH서버입니다. 텔넷서버와 마찬가지로 리눅스서버 데스크탑에 원격으로 접속하기 위한 서버의 유형중 하나이며 많은 서버들이 ssh 유형의 접속을 허용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구글클라우드플랫폼(GCP)또한 인스턴스를 생성하여 부여받으면 ssh를 이용하여 원격접속을 하고있습니다. 저의 경우 집의 데스크탑에서 가상 리눅스 환경을 부팅해두고 ssh서버를 열어둔 이후, 카페에 갑니다. 아이패드와 블루투스 키보드를 슥 꺼내서 ssh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접속해 간단한 C코딩을 하곤 하는데 이렇게 하면 남들이 보기에 멋있어 보이기도 하고 굳이 무거운 랩탑또는 데스크탑을 가지고 카페에 가지 않아도 가벼운 디바이스를 통해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