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

 

데이터 통신과 네트워킹을 주제로 한 첫번째 포스팅을 시작해 보겠습니다.

첫번째 포스팅에서 다룰 내용은 네트워크 구조입니다.

 

스터디 순서는 OSI 계층에 대하여 다루고 데이터 통신의 기본개념, 네트워크의 기본 개념, 네트워크의 물리적 연결 형태, 네트워크의 유형 순으로 다루어 보겠습니다.

 

 

 

 

1. OSI 7계층

 

OSI 7계층은 국제표준기구(ISO)에서 제시한 네트워크 표준화 모델입니다. 각 계층별로 통신에 필요한 역할을 나누어 원활한 네트워크 통

 

신할수 있게 해준것 입니다. 아래의 필기를 첨부하겠습니다

 

데이터 통신과목에서는 주로 1계층인 물리계층 부터 3계층인 네트워크 계층에 대해 다룰것이지만 주로 2계층을 메인으로 다루게 될것입

 

니다.

 

데이터 통신의 기본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우리가 Device A 를 통해 메세지를 보냈다고 해보겠습니다. 그러면 그 메세지는 여러 링크와 노드들을 거쳐서 Device B로 이동하게 됩니

 

다. 이때 지나치게 되는 네트워크 모델이 OSI 7계층입니다. 각 계층에서는 통신에 필요한 정보들을 부착하거나 해석하여 상하위 모델로 보

 

내게 됩니다. 최상위 계층에서 사용자가 사용하는 텍스트, 이미지, 영상들이 각 계층을 통과하며 통신에 필요한 여러 정보를 담고 최하위

 

계층에선 0과 1로 이루어진 비트의 스트림으로 구성되어 전송됩니다. 

 

 

 

 

 

 

 

2. 데이터 통신의 기본개념

 

데이터 통신의 구성 요소는 메세지, 샌더 리시버, 미디엄, 프로토콜로 총 네가지가 있습니다.

 

메세지 : 데이터, 통신되는 컨텐츠 or 내용

샌더,리시버 : 컴퓨터, 휴대폰등의 통신단말

미디엄 : 메세지가 전달되는 물리적 경로

프로토콜 : 통신규약(Protocol), 표준화되어 있음

 

 

 

 

 

 

그렇다면 효율성이 높은 데이터 통신은 어떠한 평가 기준을 가지고 있을까요? 우리는 어떠한 통신이 되었을때 좋은 통신이다 라고 할수 있

 

을까요? 이것을 평가하는 4가지 기준이 있습니다. 

 

1. Delivery : 전달이 잘 되어야 합니다.

2. Accuracy : 정확한 통신이 되어야 합니다.

3. Time limes : 시간적으로 보았을때 신속하고 신뢰성이 있어야 합니다.

4. jitter : 지연시간 변이가 일정하여야 합니다.

 

네가지 평가 기준을 만족해야 좋은 데이터 통신이라고 할수 있겠죠?

 

 

 

Data Representation, 표현 방법 

 

Text -> ASC2, Unicode,    Number -> 1~9 ... ,       Image ,     Audio  ,   Video 이러한 것들이 있습니다.

 

 

 

Direction of data flow, 송수신단 사이의 데이터 방향성

 

Simplex(단방향 통신) - 단방향 통신은 말그대로 데이터가 한쪽 방향으로만 통신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키보드의 신호는 컴퓨터 본체의 메인보드로만 신호를 보낼수있고 따로 수신을 할수 없습니다.

Dueplex(양방향 통신) - 송수신단이 공존하는 통신입니다. 송신자가 수신자도 될수 있죠 예를 들면 전화가 있습니다.

Half - duplex(반이중 통신) - 교대로 주고 받는 통신, 동시간 송수신이 불가능합니다.

 

 

 

 

3. 네트워크의 기본개념

 

기본적으로 네트워크란 통신단말과 통신노드들을 그물형태로 엮어 통신 목적을 이루는 것입니다. 

실생활에 쓰이는 여러가지 유형이 존재합니다.

통신망 - communicaton network 등

 

 

 

Network Criteria, 성능평가의 지표

 

performance(수율) - Throughput, 데이터가 단위시간당 움직이는 양으로  단위는 bits/sec 줄여서 bps를 사용합니다.

                         - Delay : 지연시간

Reliability(신뢰성) - prequency of failure, 네트워크가 고장나는빈도

                        - 얼마나 빨리 고쳐지는가, 얼마나 견고한가

Security(보안성) - 허용되지 않은 Access(접근)부터의 방어

                      - 보안성은 또 네가지 중요한 특성이 있습니다. (인증,기밀성,암호복호화,무결성)

 

 

 

Physical Structure, 물리적 구조

Type of Connections(연결구조) - point to point link(점대점 링크)

                                         - multi point link(멀티 포인트 링크), 다중사용자의 통신에 충돌이 일어나지 않도록 프로토콜 설정이 중요

                                                                                         ex) Mac (Multi access control)프로토콜

 

 

 

 

 

다음포스팅엔 물리적 연결형태부터 이어서 다루어 보겠습니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