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 이번 포스팅의 주제는 영단기 App 만들기 입니다. 지금까지 우리는 화면전환, 이미지 첨부, 이벤트 처리, 메세지 출력등 여러가지 기본기능에 대해서 다루어 보았습니다. 제가 이번 카테고리를 시작할 당시 방학기간에 4명의 과동기 친구들과 같이 공부했다고 했었죠! 그때 딱 이전 포스팅까지 범위의 내용을 공부하고 만들어 본것이 아주아주아주 간단한 영단기 App 만들기 였습니다. 그래서 세가지 화면만 포함한 형식자유의 어플을 만들어오자 친구들과 약속했었죠!! 세가지 화면의 구성은 이렇습니다. 1. 메인화면 (메인 이미지를 첨부하고 두가지 버튼을 상단에 포함해야함) 2. 영어단어 정답 이미지가 첨부된 answer 화면 3. 각버튼에 영단어가 써있고 버튼을 누를시 단어의 뜻이 메세지로 출력되는 자가..

안녕하세요 :) 이번 포스팅에서 다루어볼 내용은 inter activity(화면 전환) 입니다. 지난 포스팅까지 우리는 이벤트의 발생과 처리, 익명클래스를 이용한 간편한 코딩을 다루었습니다. 이번포스팅에서는 여러가지 xml 파일 간의 이동, 즉 화면전환을 다루어 볼것입니다. 여러 어플리케이션을 보면 버튼을 클릭할시 다른 화면으로 넘어가거나 전환되는 것을 볼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메인화면에서 2가지의 화면중 하나를 선택하여 들어갈수 있고, 다시 메인화면으로 돌아올수 있는 UI를 가진 어플리케이션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사용된 이미지는 인터넷을 통해 다운받은 무료이미지와 제 증명사진을 이용했습니다, 여러분도 저작권법에 유의해서 뮤료이미지 많이 사용하세용 :) 완성된 어플은 다음과 같습니다. 코드리뷰 시작에 앞..

안녕하세요 :) 이번 포스팅에서 다루어볼 내용은 익명(무명)클래스를 이용한 이벤트 처리입니다. java 코딩을 작년에 진행하면서 가장 쉽게 하는방법은 추상화와 익명클래스를 잘 이용하는것 이었는데요. 문제가 발생하면 나중에 디버깅할때 애를 많이 먹긴 하지만요 ㅎ.... 어쨋든 짤때는 간편하니까요 ㅎ 이번 포스팅에서 익명클래스를 이용해서 한번 편하게 짜보겠습니다. 지난 포스팅의 이벤트 처리를 먼저 리뷰해볼까요? 지난 포스팅 코드의 일부분입니다. 살펴보시면 위처럼 이벤트 리스너 클래스를 따로 이너클래스로 선언한것을 볼수 있습니다. 물론 좋은 방법입니다. 하지만 저는 간단한 이벤트처리의 경우는 조금더 간편하게 선언하고 바로바로 사용하고 싶습니다. 그럴때 사용하는것이 무명클래스입니다. 클래스를 따로 정의해주지 않..

안녕하세요 :) 이번 포스팅에서 다루어볼 내용은 Event 발생과 처리 입니다. 지난 포스팅까지 우리는 레이아웃을 이용해서 조금은 형식을 갖춰서 태그들을 화면에 포출시켰습니다. 하지만 화면에 아무리 이쁘게 버튼을 만들어도 버튼이동작하지 않는다면 이쁜 쓰레기에 불과 하겠죠 지금까지는 화면에 내가만든 무언가를 띄우는것 까지 다루어 보았다면 이번포스팅부터는 동작도 포함된 내용을 다루어 보겠습니다. java 카테고리를 진행할때 Event 와 EventListener에 대하여 다루어 본적이있습니다. 지금하는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 개발 카테고리도 정말 비슷합니다. 이벤트가 발생하면 리스너의 매소드를 수행한다는접에서말이죠 차이점이 하나 있다면 xml을 통해 디자인적인 객체를 생성하고 id를 통해 java코드로 넘기..

안녕하세요 :) 이번 포스팅에서 다루어볼 주제는 Layout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간단한 사진출력 어플리케이션을 만을어 봄으로서 안드로이드 앱개발의 맛을 한번 봤었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화면요소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틀이 되는 Layout에 대하여 다루어 볼것입니다. 제가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며 가장 많이 사용하던 레이아웃 두가지는 linear 과 table 입니다. 가장 첫번째로 Linear Layout에 대하여 다루어 보겠습니다. Linear layout의 경우 별다른 약식없이 선형성을 갖고 xml 태그들을 쭉나열하는 layout입니다. 하지만 태그의 속성값을 조정하여 위아래 양옆의 위치를 지정해줄수있고 레이아웃속에 레이아웃을 선언하는등의 방법으로 사용자가 임의의 양식을 만들어 주는것은 가능합니..

Android App 만들기 첫번째 포스팅은 사진 파일 출력입니다. 첫번째 포스팅인 만큼 딱 재미있고 쉽지만 눈으로 결과가 확 떠오르는 것은 사진 출력 이겠네요 ㅎㅎ 저의 경우 친구의 사진을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출력하여 "섬광탄" 이라는 첫번째 어플을 만들었었는데요, 여러분의 눈은 소중하니 예제로 쓰이는 사진파일은 무난한 것으로 재선택했습니다. 어쩃든 이번 포스팅에서 만들어볼 결과물 사진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실행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의 경우 공식 홈페이지에 인스톨과정과 파일이 잘 정리 되어있기 때문에 링크만 첨부하여 드리겠습니다. 설치를 진행하시고 실행해주세요 https://developer.android.com/studio?gclid=EAIaIQobChMIpqqv69nf8AIVA..

Android App 개발 안녕하세요 :) shinyocean 입니다. 이번에 포스팅할 게시물의 카테고리는 안드로이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 입니다. 사실 이번 카테고리는 글을 작성하고 있는 2021년 5월이 아닌 작년도 동계 방학기간동안 진행한 프로젝트입니다. (그 당시 개발을 하는 동시에 동계 계절학기를 수강하고 있었기 때문에 작업물을 블로그에 포스팅하지 못했습니다.) 대학교 2학년 2학기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과목을 수강하며, 과제를 위한 개발에 지쳐있던 저는 Java 개발에 뜻은 있지만 재미는 점점 사라지고 있었는데요. 그래서 종강후에는 과제 해결을 위한 코딩 문제풀기가 아닌 재미있는 개발을 해보자고 다짐하게 되었습니다. 그럼 자바를 이용해서 해볼수있는 컨텐츠가 무엇이있을까? 하다가 안드로이드 앱..

Data Structure(자료 구조)를 주제로 한 일곱번째 포스팅은 원형큐와 선형큐를 이용하여 자료를 구성하고 이때 처리시간을 비교하는 실험을 해보겠습니다. "선형큐와 원형큐를 구현하고 같은 양의 데이터에 있어 처리시간을 비교하여라" 두 형식의 큐를 직접 구현하여 MAX_QUEUE_SIZE를 10, 100, 200, 400, 800, 1000으로 변환하며 처리시간을 실험해 봤습니다. 실험 결과 원형큐의 경우가 선형큐에 비해 확실히 시간이 절약되었고 결과는 다음 차트와 같습니다. 크기가 더욱 커지게 된다면 소요되는 시간 더욱 차이가 날것으로 예상됩니다. 프로그램소스) #include #include #include #define MAX_QUEUE_SIZE 1000 /*typedef struct { 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