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
shiny ocean 입니다

참 오랜만에 글을 올리게 된것 같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제가 대학교에 입학후 지금까지 어떤것들을 시도 해보았고 무엇을 더 해야할지 정리해보겠습니다.
이러한 정리들는 곧 아래의 질문에 수렴합니다.

취업 준비 잘 되고 있는것일까?

최근 대학교 3학년 2학기를 보내며 여러가지 고민이 생기게 되었습니다. 그중 가장 큰 고민은
전공자인 개발자 지망생과 비전공자 지망생중 기업에서 과연 누구를 더 원할까? 이었습니다.

다양한 코딩교육사이트와 부트캠프등이 인기몰이를 하는 만큼 개발자라는 직업에 대한 진입 장벽은 낮아지고
관심도가 높아지는 만큼 취업 경쟁은 치열해지고 있는것 같습니다.

저는 웹 서버 개발자를 희망합니다.


그런데 제가 "취업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사람인가"에 대해서는 지금에서야 생각하게 되는것 같습니다.
대학교에 들어와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디지털시스템설계등
컴퓨터공학계열 전공과목을 성실히 수강했고 결과적으로 성적 또한 나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전공지식이 취업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따질때 얼마나 많은 점수를 얻어갈지는 의문입니다.

왜냐하면, 당장 하나의 웹 페이지를 혼자 만들어 봐라 라고 한다면
코딩 부트캠프를 수료하신 여타 다른 비전공자분에 비해 수준높은 결과물을 만들어낼 자신이 아직은 없습니다.

그럼, 지금까지 너는 뭐했는데?

그렇다면 이제부터 오늘의 메인주제중 하나인 지금까지 무엇을 시도했는지를 다루어보겠습니다.
지금까지의 행보가 절대로 의미 없는 삽질이었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개발자가 되어야겠다고 결심한것은 대학교 2학년 때 부터였습니다.
사람마다 노력을 조금만해도 성적이 잘 나오는 분야가 있고, 정말 열심히 노력해도 그에 비해서는 결과가 잘 나오지 않는 분야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전자의 경우 제겐 그것이 프로그래밍 관련 과목들이었습니다.

전자회로 또는 신호처리와 관련된 과목들은 정말 약했습니다. 저는 잘하는것을 조금더 열심히 해서 학점을 만들자는 생각을 했고 그러한 생각으로 가장 집중해서 공부한 첫 과목이 객체지향프로그래밍 (JAVA)였습니다.

해당과목에 대한 과정도 결과도 만족스러워지자 흥미를 갖고 개발자에 대한 동기부여가 생기게 된것같습니다.
이후의 행보는 학년와 학기순으로 다음과 같습니다.

<2.학년 1학기>

<대학교>
C, 자료구조 수강

<2학년 2학기>

<대학교>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JAVA, 디지털시스템설계 수강

<개인>
우분투 리눅스를 통해 기본적인 리눅스 터미널 커맨드를 숙지하고
아파치 웹 서버와 ssh서버, 기본적인 메일서버등을 구축해 보았으며,
리눅스 환경에서 파이썬과 장고프레임워크를 이용한 웹 토이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웹 개발에 대한 흥미가 생김

친구들 3명과 함께 JAVA를 이용한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 토이프로젝트를 진행해봄
(간단한 GUI를 이용한 토이앱을 만들어봄)

<3학년 1학기>

<대학교>
운영체제, 컴퓨터 구조, 데이터 통신과 네트워크 수강

<개인>
html,css,js를 이용한 Todo리스트 구현
파이썬 TK와 mysql을 이용한 Todo리스트 GUI 응용프로그램 구현
mysql데이터 베이스의 기본적인 쿼리를 익히게 됨

파이썬을 이용한 알고리즘 공부 시작
(백준 : shinyocean)

Node.js를 이용한 게시판 사이트를 만들어봄,

<3학년 2학기>

<대학교>
데이터 베이스, 알고리즘, 마이크로응용 프로세서 설계 수강 중

<개인>
자바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웹 개발 공부 중



지금까지는 저의 활동이 철저히 서버개발자로 취업을 위한 준비라고 하기에는 많이 초라합니다.
하지만 위의 과정을 거치며 여러경험을 해보았습니다. 어플리케이션개발도 손을 대보고 리눅스단 서버 구축과 운영, GUI응용 프로그램 개발등 여러가지를 시도해보고 느낀점이 몇가지있습니다.
제게 웹 개발 그중 서버개발이 가장 재밌다는점, 앞으로의 인생에 있어서 열정을 갖을수 있는 분야를 찾게 되었다는 것이 두가지가 가장 큰 느낀점이었습니다.


이제 무엇을 준비할 것인가?

서버 개발자가 취업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으려면 아무래도 세가지정도를 잘 준비해야할것 같습니다,
포트폴리오용 개인 프로젝트 웹 페이지, 깃허브, 기술블로그 입니다.

운이 좋게도 저는 1년 전쯤 부터 기술블로그를 운영하고 있었습니다. 물론 미비한 도약들이었지만 그 과정은 성실히 기록해왔다고 자부합니다. 그렇다면 앞으로 남은것은 깃허브와 포트폴리오 인것 같습니다.

그래서 3주 전부터 저는 새로운 도전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제로베이스라는 온라인 교육 사이트를 통해 자바와 스프링 부트를 이용한 백엔드 개발 강의를 수강하게 되었습니다.
해당강의는 90일 코스이며 종료일은 내년 1월9일쯤 이었던것으로 기억합니다. 이후 1년동안 퀄리티 높은 자바 스프링 포트폴리오 웹 페이지를 구축 해볼 예정입니다.

지금 전공 공부와 해당 강의의 강의수강 및 과제들로 인해 블로그 포스팅은 뜸해진것 같습니다. 하지만 알게 모르게 작업물들은 점점 쌓여가고 있었습니다. 급한불이 꺼지고 이번학기가 마무리된다면 조금씩 다시 기록을 남겨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내년이 된다면 sqld 자격증과 대학을 나온 개발자가 갖는 조금은 큰 무기인 정보처리기사를 취득할 예정입니다.
조금 더 완성도를 갖춘 포토폴리오용 웹페이지 또한 만들어야 할것입니다.

앞으로의 저의 도전또한 응원해 주세요!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