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 이번포스팅에서는 글로벌 변수를 이용한 상호배제에 대하여 다루어볼것입니다. 설명전에 일단! 제가 짠 야매코드에요... 배운내용을 기억나는대로 한번 구현해본거라서... 오류가 있을수 있습니다... 사실 맞게 구현한지도 모르겠네요 ㅎ... 세마포어 관련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지 않고 상호배제를 이룩할수 있는 방법중에 제 코드보다 더 좋은 방법이 있다면 알려주십시오! 상호배제는 운영체제 카테고리에서도 다룬것 처럼 크리티컬한 코드의 영역에 다중접근을 방지하는것인데요. 만약 프린터 디바이스를 생각해보겠습니다. 출력하고싶은 두가지 문구 (안녕하세요, hi)가 비슷한시간에 접근하였을때 이영역을 보장하지 않고 출력한다면 결과가 이상하겠죠! 안h녕하i세요 이런식으로 섞여서 나오나요? 아닙니다. 둘중 조금이라도..

안녕하세요 :) 이번 포스팅에서 다루어볼 내용은 Linux환경의 Thread운용입니다. 운영체제 카테고리를 통해 쓰레드에 대한 내용을 다루어 보았습니다. 스레드는 프로세스의 실행 패스를 분할하여 비동기식으로 프로그램은 운용하는 것인데요. 자바카테고리에서 프로젝트를 다루어 볼때도 스레드 클래스를 상속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운용해본 적이 있습니다. 이번에는 리눅스환경에서 pthread 라이브러리를 이용할것입니다. POSIXㅅ쓰레드 의 약어로, 유닉스 운영체제제 기반의 운영체제에서 사용할수 있는 기법입니다. 헤더파일로 pthead.h를 include 하고 라이브러리 내의 함수 pthread_create(), pthread_join(), abort()등을 사용합니다. pthread_create(), 쓰레드를 만..

이제부터 시작해볼 프로젝트는 제가 파이썬 토이프로젝트를 시작한 이유입니다. 소개가 거창하네요... 파이썬으로 작성된 백엔드 프레임워크인 Django에 대하여 다루어보겠습니다!! 첫 내용은 당연히 개발환경 구축이겠죠! 사실 백엔드 프레임워크라고 해서 새로 배울 언어가 따로 있는것은 아니고요 Django 라는 잘 짜여진 프레임워크의 소스와 라이브러리내의 함수를 이용하여 웹프로그래밍의 전반적인 틀을 만들어주는것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해볼것은 로컬호스트를 통해 html 파일내에 태그로 선언된 helloworld 문구를 웹 브라우저에 띄우는것입니다. 그럼 시작해 보겠습니다. 1. 우분투 리눅스에 가상환경 설정해주기 -pip install virtualenvwrapper 몇가지 가상환경 라이브러리가 있지만 위의 ..

이번 포스팅은 깃허브를 이용해서 웹 호스팅하는 방법에 대하여 다루어 보겠습니다. 지난주에 html의 태그와 자바스크립트를 연습할때 todolist 웹 어플리케이션을 만들어 보았는데요 ㅎ.. 웹앱이라하기에도 부끄러운 수준이긴 하지만 마땅한 파일이 별로 없어서 이거로 한번 호스팅 해보겠습니다. 결과 링크는 아래와 같습니다. https://kimhaechan1022.github.io/web1/ Todo List kimhaechan1022.github.io 페이지의 컨텐츠는 별볼일 없으니, 위 링크는 "내가 만든 웹페이지가 하나의 도메인을 가지고 호스팅될 수도 있구나~" 하고 참고 해주세용 그럼 시작해 보겠습니다. 깃허브의 계정은 있다 생각하고 계정을 만드는 과정은 생략하겠습니다. 가장 먼저 아래의 그림에 나오..

이번 포스팅은 HTML의 input form 태그에 대하여 다루어 보겠습니다. form 이란 입력된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할때 사용하는 HTML 태그입니다. 사용하는 프레임워크 언어에 따라서 속성값은 조금씩 변화될수 있습니다. 만약 php 언어를 사용하여 서버를 구성할때, input data를 로그인 서버로 보내고 싶다면 아래와 같습니다. 하지만 이번 카테고리를 진행함에 있어 프레임워크 또는 백엔드에 대한 내용은 자세히 다루지 않겠습니다. 때문에, action="" 라 선언한 채로 모든 인풋 타입을 다루어 보겠습니다. 1. text box 형태의 input form 첫번째로 다루어볼 input form은 텍스트박스 형태의 인풋 타입이며 구성완료시 화면은 다음과 같습니다. 위와 같은 양식의 form은 많이 ..

이번 포스팅은 HTML의 태그중 TABLE에 대하여 다루어 보겠습니다. 먼저 Table 태그를 이용해서 만들어볼 결과 페이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아래의 코드는 위의 테이블을 만들기 위한 HTML 코드이며 붙여둔 행번호를 통하여 테이블 태그를 다루어 보겠습니다. line 2 : 제목으로 테이블 태그 예제 라는 문구를 달아주었습니다. line 6, 32 테이블 태그의 기본 선언입니다. 태그를 통해 태그안의 내용이 테이블을 구성하는 요소임을 나타냅니다. 속성으로 들어간 border="2" 는 테이블을 구분하는 구분선들의 굵기를 나타냅니다. line 8, 10 테이블을 구분지어질 요소를 Table head 의 약자인 태그를 사용하여 선언하였습니다. 내부의 자식 태그인 태그의 경우 table data 태그와는 달..

안녕하세요 :) 이번에 해볼 내용은 지금까지 포스팅해온 것들을 활용하여 Webpage 를 링크로 엮은 Website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지금까지 만든 페이지는 아래와 같습니다. 그런데 리스트를 보면 itzy의 노래 와 오마이걸의 노래도 있는데 현재 문서에는 스테이씨의 노래 밖에 없죠 ㅎ 이를 링크를 이용해서 각각의 문서를 따로 따로 만들어 연결해주고 제일 첫화면으로 사용할 index.html에는 welcome simple music info website 라는 문과와 함께 리스트가 표출되게 만들어 보겠습니다. 내용은 이전 포스팅에서 충분히 다루었기 때문에 코드와 결과 동영상, 디렉터리 구조만 첨부 하겠습니다. 결과 영상) 디렉터리 구조 & 코드) Webpage 를 링크로 엮은 Website Webpag..

안녕하세요 :) 이번에 다루어 볼 내용은 상위 태그에 속하는 다섯가지 태그인 html, head, body, meta, title 입니다. 언급한 순서대로 다루어볼 예정은 아닙니다! 이번에도 역시 지난 포스팅에서 마지막으로 다룬 내용에서 부터 시작해보겠습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우리는 하나의 html 웹문서를 그래도 얼추 이쁘게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브라우저의 제목을 살펴보면 아직 이쁘지 않은것을 볼수있습니다. 비교가 되게 제블로그와 네이버 를 다른 tab에 띄어서 같이 보겠습니다. 어떤가요...? 다른웹페이지는 그들만의 이름을 가지고 있는데 지난 실습까지 만든 페이지는 그냥 파일의 경로와 함께 파일명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마음에 안드네요 ㅎ 그렇다면 이럴때 페이지의 이름을 부여해주는 태그가 바로 입니다...